3대 기획사라고 하면 SM, YG, JYP라고 하던데,

셋 다 지금 난리가 났다

중국이 싸드를 놓은 것에 대한 보복으로 한국 연예인들이 중국 프로그램에

못나오도록 금한령을 놓아버렸기때문인데

하지만 아주 조금씩 서서히 풀어질 것 같다

주 이유는 중국업체들이 한국 엔터테인먼트사들에 상당한 투자를 해놓은 상태이기 때문

이게 전으로 되돌아가려면 얼마나 걸릴지 모르겠지만,

-
요즘 JYP를 포함한 모든 엔터테인먼트사들의 주가가 폭격을 맞고 있다.

바로 사드 때문이다.(사드 배치에 관한 글)

사드에 대한 보복으로 중국은 주요 수출 품목에 조치를 취하진 않고

한국 연예인들이 출연할 수 없도록 조치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주가들이 하락중인 것.

허나 얼마전에 SM의 방탄소년단이 중국에서 공연을 한게 알려지면서 금한령이 풀릴 조짐이 보인다고 한다.

뭐 사실 중국 정부측에서 이런 행동을 보일 수 있다는 것 자체가 기획사들에게 위험요소 중 하나이다.

다들 중국 사업 비중은 어떻게 될까
-
JYP Ent.

중국 부문은 따로 안하고 해외는 전부 퉁치고 있다.

한국 엔터테인먼트사 진출은 중국, 일본, 대만, 동남아 정도

매출액(비중)

2016년 9월
국내 294억(61.4%)
해외 185억(38.6%)
총 479억(매출액 성장률 47.4%)

2015년
국내 292억(57.7%)
해외 214억(42.3%)
총 506억(매출액 성장률 4.3%)

2014년
국내 246억(50.7%)
해외 239억(49.3%)
총 485억(매출액 성장률 127.7%)

2013년
국내 111억(52.1%)
해외 102억(47.9%)
총 213억(42%)

2012년
국내 57억(38%)
해외 93억(62%)
총 150억

JYP는 상당히 좋은 매출액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그외 확인 가능한건 갈수록 국내 비중이 늘고 있다는 것.

사실 이게 나쁜건 아니다 돈 많이 버는게 중요하지, 해외부문에는 상당한 매출을 올리고 있는 일본도 포함되있으니 중국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진 않을듯


올해 12월 매출을 봐야 금한령이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
에스엠

에스엠은 국내, 일본, 기타 국외로 구성된다. 기타 국외에서는 중국이 제일 클 것.

매출액(비중)

2016년 9월
국내 1625억(59.8%)
일본 488억(18%)
기타 국외 602억(22.2%)
총 2715억(매출액 성장률 15.0%)

2015년
국내 1690억(51.9%)
일본 846억(26%)
기타 국외 718억(22.1%)
총 3254억(매출액 성장률 13.4%)

2014년
국내 1552억(54.1%)
일본 821억(28.6%)
기타 국외 496억(17.3%)
총 2870억(매출액 성장률 6.8%)

2013년
국내 1536억(57.2%)
일본 842억(31.3%)
기타 국외 309억(11.5%)
총 2687억(매출액 성장률 11.3%)

2012년
국내 1127억(46.7%)
일본 1097억(45.5%)
기타 국외 189억(7.8%)
총 2413억

JYP는 성장폭이 클 수 있지만 상당히 불규칙한데 반해

에스엠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에스엠 역시 국내 비중이 과거보다 높아진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 일본 매출이 눈에 띄게 줄기도 했다.

반면 중국을 포함하는 기타 국외의 매출은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
와이지엔터테인먼트 YG

YG도 SM처럼 국내, 일본, 기타 국외 로 분류중

2016년 9월
국내 1011억(50.2%)
일본 720억(28.6%)
기타 국외 783억(31.1%)
총 2515억(매출액 성장률 83%)

2015년
국내 946억(49.0%)
일본 433억(22.4%)
기타 국외 552억(28.6)
총 1931억(매출액 성장률 23.5%)

2014년
국내 662억(42.3%)
일본 613억(39.2%)
기타 국외 287억(18.4%)
총 1563억(매출액 성장률 34.4%)

2013년
국내 507억(43.6%)
일본 378억(32.5%)
기타 국외 277억(23.8%)
총 1163억(매출액 성장률 9%)

2012년
국내 531억(49.8%)
일본 315억(29.6%)
기타 국외 219억(20.6%)
총 1065억

YG도 JYP에 버금가는 수준의 성장률을 보여주고 있다.

이쪽도 국내 비중이 늘어나긴 했지만

일본과 기타 국외의 매출이 눈에 띄게 상승하고 있다.

와이지의 경우 예상 불가능한 문제점이 하나 내재되어 있는데,

바로 최순실 게이트

특검이 진행되면서 크게 연루되었다는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충분하다

회사의 장기적 수익성에 문제는 없다지만 이런 리스크를 진 회사의 주식을 사는 것은 좀 다른 문제.
-
에프엔씨엔터 FNC

중국을 따로 분류하고 있다.

2016년 9월
국내 273억(43.1%)
일본 285억(45.0%)
중국 66억(10.4%)
기타 9억(1.4%)
총 633억(매출액 성장률 41.6%)

2015년
국내 235억(32.3%)
일본 410억(56.4%)
중국 53억(7.3%)
기타 28억(3.9%)
총 727억(매출액 성장률 21.2%)

2014년
국내 154억(25.7%)
일본 385억(64.2%)
중국 30억(5.0%)
기타 31억(5.1%)
총 600억(매출액 성장률 21%)

2013년
국내 127억(25.6%)
일본 350억(70.6%)
중국 2억(0.4%)
기타 17억(3.4%)
총 496억

여기 역시 일본 비중이 압도적이었다가 갈수록 국내 매출과 비중이 늘고 있다

다른 회사들의 경우 정확한 분류가 안되서 자세히 모르겠지만

매출 중 중국이 차지하는 비율이 위 회사들에 비해 낮은편이 아닐까 싶다

매출액 성장률은 에스엠보단 좋고 JYP • YG보다는 좀 밀리는듯.
-
상장한 다른 기획사로 아이유의 로엔 엔터테인먼트가 있는데 주 수입원은 아직 엔터테인먼트까지는 아니고

음원 사업이므로 로엔은 다음 기회에 보는 걸로,
-
총이익률을 한번 보도록 하자
-
JYP Ent. 시가총액 161212 기준 1709억원

1609 69억(14.4%)
15 27억(5.3%)
14 85억(17.5%)
13 -27억(-17.8%)
12 -92억(-61.3%)

매우 안좋았다가 회복중인데 변동폭이 크긴 하다.

13년 기점으로 프로듀싱을 전적으로 박진영에게 의존하는 체제에서 변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박진영에게만 의존할 때는 대박을 칠 때도 있지만

실패하면 후폭풍이 크다는 지적이 있었고

박진영이 이를 받아들이면서 회사 경영 체계를 바꿨다.
-
에스엠 시가총액 161212 기준 5798억

1609 114억(4.2%)
15 248억(7.6%)
14 79억(2.7%)
13 195억(7.3%)
12 365억(15.1%)

JYP보다 안정적이지만 확실히 하향세를 보이는 듯하다.
-
와이지엔터테인먼트 시가총액 161212 기준 4726억

1609 212억(8.4%)
15 284억(14.7%)
14 182억(11.6%)
13 159억(13.7%)
12 180억(16.9%)

에스엠보다 매출은 낮지만 더 많은 돈을 벌어들이고 있다.

영업이익률도 상당히 안정적이고 영업이익 측면에서는 JYP보다도 좋다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
에프엔씨엔터 시가총액 161212기준 1125억

1609 8억(1.3%)
15 21억(2.9%)
14 73억(12.2%)
13 17억(3.4%)
12 43억(13.4%)

에프엔씨는 과거엔 좋았으나 현재는 영업이익률이 많이 떨어졌다.

딱히 추세를 바꿀만한 뉴스도 없으니 에프엔씨 주식은 현재로선 거르는게 좋지 않을까,
-
재무상태는 간단히 설명

JYP - 재무상태가 매우 좋은 편. 추가 차입을 해도 괜찮을 정도이나, 업계 특성상 굳이 추가 차입 할 필요는 적을 것으로 보인다.

에스엠 - 마찬가지로 재무상태가 매우 좋다. 추가 차입 가능하나 마찬가지로 필요성이 적을수도

와이지엔터테인먼트 - 재무상태가 좋은 편이지만 JYP나 에스엠보다는 아닌 듯 하지만 그래도 좋긴하다. 마찬가지로 추가 차입도 가능한 수준

딱히 재무상태로 어디에 투자하라마라 할 순 없을정도로 3개사 전부 좋다.
-
연예인 기획사의 사업은 정량만으로는 측정할 수 없다

기획사 다들 계속 해서 잘 나가는 연예인들이 있지만

주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미래의 발전 가능성,

가장 최근에 간판이라고 할 수 있는 소속 연예인을 한번 보도록 하자.

JYP - TWICE
SM - EXO
YG - 빅뱅

이거는 JYP를 높이 평가할만 한 듯 하다.

TWICE는 겨우 작년에 나온 그룹인데 지금 연예계 전부 통틀어 제일 핫한 그룹 중 하나이다.

2012년 데뷔한 EXO도 여전히 잘나가지만 중국인 멤버들 탈퇴하면서 여러 불화가 생기고 시간이 지나면서 과거만은 못한듯

빅뱅 역시 마찬가지, 2006년에 데뷔해서 10년째 인기를 유지하고 있는건 매우 대단하며

GD는 동서양 전부에서 놀고있는 세계구급 스타가 됬다.

빅뱅은 엄청 성장한 세계구급 그룹중 하나이지만

회사 입장에선 좋다고 볼 수 없다.

예를 들어 빅뱅멤버들이 군대라도 가버린다면 그동안 활동을 못하게되는데, 10년동안 핫한 신인 그룹(물론 2NE1같은 그룹도 있었지만 트와이스 등에 비하면 좀 밀리는듯)을 제대로 못키워온걸 보면?

사실 이건 모르는 일이긴 하다. 지금 트와이스로 잘 나가는 JYP도 공백기를 겪던 때가 있으니

SM이나 YG도 언제라도 소녀시대, 동방신기, 빅뱅 같은 그룹을 새로 낼 수도 있다.

아무튼 현재로서는 이런 측면에서 JYP에 가점을 줄 수 있는 상황
-
여러모로 볼 때 JYP는 현재로선 안정성이 떨어지긴 하지만

계속 개선해나가는 중이고 실제로 성과도 보인다.

소속 연예인들 중에 빅뱅같은 세계구급 슈퍼스타는 현재로선 없다고 할 수 있지만

2PM, 원더걸스(재계약 협상 중이라고 한다.), 수지 등도 괜찮게 잘 먹히는 편이고

트와이스도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

금한령도 서서히 풀릴 가능성이 높으니

JYP Ent. 는 살만한 주식이라고 말할 수 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개인 투자자들의 주적으로 떠오르고 있는 공매도라는게 있다.

이 공매도란 없는 것을 빌려서 파는 걸을 말한다

간단히 말하면

장기 투자자에게서 주식을 빌려다가 판 후, 일정 기간이 지나고 주식을 되사서 수수료와 함께 돌려주는 것이

주가가 하락하면 하락할수록 이득을 보는 것.

공매도는 사실 매우 위험한 행위이다.

삼성전자 주식으로 예를 들면,

16년 12월 8일 기준 삼성전자 주가는 179만원이다.

삼성전자 주식이 앞으로 얼마나 상승할지는 정해져있지 않다.

하락하는 경우엔 1원까지 하락할 수 있다.

삼성전자 주식을 1주 사는 경우 최악의 경우에도 손실은 179만원으로 정해져있지만

아주 좋게 흘러갈 경우는 이익은 수천만원까지도 갈 수 있다.

반면 1주를 공매도 한다면,

아주 좋게 흘러간다면 이익은 179만원이지만 손실은 수천만원이 될 수 있다.

공매도로 돈을 쉽게 벌 수 있다는건 잘못 알려진 사실이다

사실 전반적인 주가는 경제성장이 지속되는한 장기적으로 본다면 오를 수 밖에 없다

이건 워렌 버핏의 투자 방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이에 관한 글을 같이 봐주시면 좋을 듯 하다,

종종 나오는 기사가 있다.

악의적인 공매도 세력들이 공매도를 대량으로 한 후 악성 루머를 퍼뜨려

주가를 일부러 떨어뜨려 엄청난 수익을 내고 있다는 것

뭐 어느정도 가능성은 있지만

나는 그렇게 보지는 않는다.

기본적인 설명을 해본다면,

이유 없이 저렇게 해봤자 주가가 회사의 실적이나 성장가능성에 비해 터무니없이 저평가 되있다면 다른 투자자들이 안 살리가 없다

그리고 위에서 말했듯 공매도는 리스크가 너무 크다.

불확실한 악성 루머 퍼뜨리기만으로 수익을 올리기 위해 공매도를 치는건 너무 위험한 행위이다..

그냥 해당 주식에 대해 공매도를 할만한 뭔가 요인이 있다고 보는게 합당한 것 같다

가령 LG전자같은 경우는 현재 부채가 상당히 많은 상태이다.

은행에서도 대출을 안해줄 정도로 재무건전성이 좋지 못한 상태

이에 대해건 LG전자 분석 글 을 같이 보셔도 좋을듯?
-
개인 투자자들도 공매도를 할 수 있다.

각 증권사에서 제공하고 있는 "대주거래"를 이용하면 된다

사실 수량이 많이 적긴 한데 증권사 여러개에 계좌를 만든다면

왠만한 개인투자자로서는 원하는 주식을 충분히 공매도 칠 수 있을듯

공매도는 알려진 것처럼 꽁으로 돈버는게 아니며

굉장한 위험성을 내포한 행위이다

2016년 12월 1일에 OPEC은 감산을 합의했다

이에 맞춰 유가의 기준 중 하나가 되는 미국 원유(WTI) 선물 가격은 50달러를 넘게 되었다

이런 추세가 앞으로도 유지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의견을 낸다

1. OPEC 합의의 허점

OPEC 국가들 사이에서도 발표한 양보다 많이 생산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게다가 OPEC에 속하지 않는 국가인 러시아 같은 경우는 "감산을 할 준비가 되어있다" 라고 말하지만

실제로 감산을 할지는 불분명하다.

전문가들도 이렇게 예측 중

2. 미국의 정책
미국이 16년 12월에 기준금리를 올릴 것은 거의 기정사실이다.

기준금리 인상과 유가의 관계에 관해선

중앙은행과 기준금리 글을 봐주시면 좋을듯

그리고 도널드 트럼프의 정책

도널드 트럼프는 석유화학 업계의 열렬한 지지를 받고 있으며

당선시 화석연료에 관한 각종 규제를 풀고 석유화학 산업을 부흥시키겠다고 공약했었다

여기에는 셰일오일의 생산 증대 역시 포함된다.

3. 미국을 제외한 국가들의 경기 부진
경제 상황이 좋을수록 석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해 원유 가격은 상승한다.

반대로 경제 상황이 안좋을수록 석유에 대한 수요는 감소해 원유 가격은 하락한다.

미국은 12월에 기준금리 인하를 기정사실화 할 정도로 경제가 회복되었지만 다른 국가들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EU와 일본은 여전히 부양책인 양적완화 정책을 진행중이고 중국도 회복조짐이 보이지만 원유 가격을 올릴 정도는 아닌듯

대표적인 경기순응산업인 철강사와 조선사 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봐서 회복조짐이 보이기는 하지만

아직까지는 원유 가격을 올릴 정도는 아니라고 판단한다.
-
이러한 이유들로 원유 가격이 50달러를 넘은 것은 일시적이며 중기적으로 50달러 밑에서 움직일 것이라는 의견을 낸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