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미국에서 시작된 부동산 가격 급락은 금융시장과 실물경제의 급격한 침체를 가져왔다.

(인류사 통틀어 가장 뛰어난 경제관료들 중 한명으로 평가받는 벤 버냉키)

당시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FRB 의 의장으로는 벤 버냉키가 재임중이었다.

딱히 선을 그을 수는 없지만 굳이 말하자면

중앙은행은 금융경제 쪽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중앙은행에 관한 글)

버냉키는 금융경제를 부양하기 위해 한가지 정책을 사용했는데 그것이 바로 양적완화 정책이다.

양적완화는 중앙은행이 민간 은행들과 정부로부터 대규모의 채권을 현금으로 매입하는 것을 말한다.(채권에 관한 글)

이 현금은 그냥 찍어내는 것.

중앙은행은 화폐를 발행할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다.

이 채권 매입이 경제를 부양하는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1) 중앙은행이 민간은행과 정부에게 현금을 주고 엄청난 양의 채권을 매입한다.

(2) 민간은행은 엄청난 현금을 갖게 된다. 이 돈 놀려봐야 소용 없으니 대출을 해주고 싶을 것이다.

(3) 대출에 대한 공급이 늘어나므로 대출 이자가 감소한다.

(4) 대출 이자가 감소한다.

(5) 그 결과 돈이 필요한 기업들은 회사채를 발행하기보다는 대출을 받으려 할 것이다.

(6) 이러면 회사채 발행량이 줄어든다.

(7) 회사채 투자자들은 회사채에 투자하길 원하니 회사채 이자를 깎아준다.

(8) 결국 전반적인 회사채 이자율이 감소하면서 회사채 발행량도 늘어난다.

(9) 이자가 싸므로 기업들은 돈을 빌려서 새로운 사업에 투자하려 할 것이다

(*) 민간은행과는 별개로 정부 역시 엄청난 현금을 갖게 된다.
정부는 이 현금으로 직접 지출을 늘린다.
여기엔 다양한 방법이 있다..
정부기관에서 쓰이는 사무용품, 자동차, 전자기기 등 다양한 상품에 대한 소비를 늘리거나
도로나 항구를 짓는 식으로 인프라를 확충하거나
건물을 짓거나 등등

이렇게 금융경제를 부양하면 이게 실물경제 회복으로 이어지는게 양적완화의 이론이다.

하지만 이게 이렇게 잘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이유는 크게 두 가지이다.

(1) 물가가 상승하면서 상품에 대한 수요가 다시 감소
이론에서도 내포하고 있는 전통적인 모습,

기업이 새로운 사업에 투자하는 과정(Ex. 공장을 새로 짓거나 기계를 늘림)에서 상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한다.

공장을 짓는 데에는 시멘트, 목재, 철강 등 각종 자재가 필요하며 기계 역시 다른 기업에서 만드는 것이다.

저 시멘트, 목재, 철강, 기계 만드는 회사도 부품을 다른 회사에서 사오는 것이다.

이렇게 이어지면 결국 전반적인 상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이는 전반적인 물가 상승으로 이어진다.

물가가 상승하니 상품에 대한 수요는 다시 감소하고 경제는 원점으로 돌아온다

이건 2010년대에는 적용되지 않았다.
오히려 양적완화를 시행했음에도 물가상승률이 너무 낮은게 문제가 됬었다..

(2) 소비 및 투자 심리의 위축
2010년대에 나타난건 주로 이쪽이다.

한마디로 쫄은건데

경제상황이 너무 안좋아서 투자를 하면 다 날릴 것 같고,

앞으로 돈을 못 벌 것 같으니 소비를 줄이고 저축을 늘리는 것

이러니 이자율이 아무리 낮아져도 기업은 신규투자를 안하니 양적완화로 인한 이자율 하락의 효과는 반감된다.

 

양적완화의 효과는 한가지가 더있다.

바로 화폐 가치의 하락(=환율 상승)

조금만 생각해보면 간단한데

미국은 가만히 있어서 대출 이자율이 5%이고

일본에서 대규모 양적완화를 실시하여 대출 이자율이 5%에서 2%로 내려가면

엔화의 가치는 떨어질 것이다.

빌리는 데 드는 이자율이 낮으므로~

그 결과 엔화의 가치는 하락하고

엔/달러 환율은 상승할 것이다. (같은 양의 달러를 사는 데에 더 많은 돈이 필요)
-양적완화를 통해 확실한 경제회복을 이뤄내 출구전략 중인 미국과는 달리

유럽연합과 일본은 만족할 만한 효과를 못 보고 여전히 양적완화를 진행중이다.

양적완화는 좋은 쪽이건 나쁜 쪽이건 경제에 큰 영향를 미치게 된다.

유럽연합과 일본에서 양적완화를 끝낼 무렵 큰 투자기회가 올 수 있을 것 같다.

+ Recent posts